기아 송호성 사장
기아가 9일 서울 중구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2030 중장기 성장 전략 Plan S 2030을 구체화했다. 판매량 목표, 친환경 차종 확대, 신규 파워트레인 개발이 주요 내용이다.
먼저 판매량은 올해 322만대, 2027년 375만 대, 2030년 419만 대를 목표로 한다. 특히 2030년은 중국 판매량 현실화에 따라 지난해 발표한 430만 대 대비 11만 대 높게 설정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111만대, 유럽 77만대, 국내 58만대, 인도 40만 대를 목표로 삼았다.
기아 2025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
이중 친환경 차 판매는 전체 비중의 56%(233만 3,000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전기차 125만 9,000대, 하이브리드(HEV, PHEV) 107만 4,000대다. 주요 4대 시장 판매 비중은 북미 70%, 유럽 86%, 국내 73%, 인도 43%까지 확장한다.
이에 맞춰 내연기관 비중을 줄일 계획이다. 올해 말 기준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내연기관 23종, 전기차 9종 등 32종을 판매한다. 2030년에는 내연기관 17종, 전기차 15종으로 친환경차 라인업을 늘린다.
기아 셀토스
내연기관은 신흥 시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운영한다. 다만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는 k5, k8, 니로, 스포티지, 쏘렌토, 카니발 등 6종의 하이브리드로 49만 2천 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셀토스, 텔루라이드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10종으로 99만 3,000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
또한 파워트레인 생산시설도 증량한다. 2030년 90만 대 공급 능력을 계획한다. 국내에는 소형, 중형, 대형 차종을, 해외시장에서는 소형, 중형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증량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
아울러 신규 파워트레인도 개발한다. 신규 2.5L 가솔린 터보 엔진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하이브리드 및 EREV 시스템을 전개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밀도와 저온 성능을 개선한 5세대 배터리를 개발할 방침이다.
픽업 시장은 타스만을 시작으로 글로벌 완상차 산업 수요 9%를 목표로 한다. 특히 미국시장은 신규 전기차 플랫폼에 기반한 중형 전동화 픽업을 출시하고 중장기 연 9만 대 판매, 시장 점유율 7%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아 타스만
전동화 픽업은 동급 최고의 실내 및 적재공간, 토잉 시스템 OEM 개발을 통한 편의성 증대, 오프로드에서의 특화 기능화 주행성을 확보하는 한편, 안전 및 편의성 확보를 최신 안전사양 및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을 적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아는 EV3, EV4, EV5를 시작으로 2026년 출시 예정인 EV2까지 대중화 EV 라인업을 저극 도입한다. 또한 올해 하반기 출시할 PV5를 시작으로 PBV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현대차그룹 이핏
충전 인프라 확대 전략도 지속해 나간다. 국내에서는 현재 2,326기가 설치된 초고속 및 급속 충전기를 2030년까지 13,000기 이상 구축한다.
이밖에도 2026년에는 차량용 고성능 컴퓨터 기반의 전기·전자 아키텍처(컴퓨터 시스템)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로 자율주행 AI 기능을 구현하고, 이후 SDV 양산 체제 및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